[여행정보]세계 여행 - 프랑스 알아보기
오늘 소개할 여행지는 바로 프랑스입니다. 개인적으로도 프랑스라는 나라는 너무 가보고 싶은 나라중 하나이죠.
모든 내용의 출처 및 저작권은 위키백과에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 위키백과 - 프랑스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9E%91%EC%8A%A4
이미지 출처 : 위키백과 - 프랑스
프랑스
이미지 출처 : 위키백과 - 프랑스
프랑스 공화국(프랑스어: République française 레퓌블리크 프랑세즈[*] IPA: [ʀepyblik-fʀɑ̃sɛz]) 또는 프랑스(프랑스어: France)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크다.
수도는 파리이다. 프랑스 본토는 남북으로는 지중해에서 영국 해협과 북해까지, 동서로는 라인 강에서 대서양에 이른다.
그 지형적 모양으로 인해 프랑스인들은 종종 이 곳을 L'Hexagone(육각형)이라고 부른다.
프랑스 식민 제국은 1938년에 정점을 이루었으며 당시 세계 인구의 5%가 프랑스 영토에 거주하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본토가 점령되는 고초를 겪었으며 후에는 독립을 원하는 식민지들과 전쟁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알제리 전쟁, 프랑스-베트남 전쟁이 있다. 제국의 유산으로 현재 3억에 가까운 인구가 프랑스어로 소통이 가능하며, 프랑코포니등을 통해 프랑스어권 국가들에게 아직도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유럽 연합 창설시부터 유럽 연합 내에서 독일과 함께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으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회원국으로, 1966년에 탈퇴 이후 1992년에 재가입하였다.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이며 2016년 현재 명목 국내총생산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크다.
같은 해 세계 시가총액 100대 기업 중 토탈, 사노피아벤티스, GDF 수에즈, BNP 파리바, 루이비통, 로레알이 프랑스 회사였다. 고부가가치 산업의 중심 국가이며, 대부분의 제조업은 높은 임금으로 인해 쇠퇴했다.
현재 서유럽 5대 경제대국 중 제조업 비중이 제일 낮다.
임금은 서유럽 주요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 10년간 상승세가 가장 높았다.
프랑스 국명
"프랑스"라는 이름은 라틴어 Francia로부터 유래하였다. 글자 뜻대로 하면 "프랑크의 땅"을 의미한다. 한 이론에 따르면, 고대 게르만어에서 프랑크는 노예처럼 일하는 것에 반대되는 "자유로운" 이란 뜻이다. 이 말은 여전히 프랑스에서 "프랑"(franc)이란 단어로 남아있으며, 2000년대에 유로가 사용되기 전까지 사용된 프랑스 통화로도 쓰였다.
중화권과 베트남에서는 법국(法國)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며 발음은 파궈(중국어 보통화), 팝꿕(광동화), 팝(베트남어)으로 각기 다르다. 한국어권에서도 쓰였으나, 최근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종종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일본식 표현인 불란서(佛蘭西)로 불리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현대 일본에서는 후란스(フランス)라고 표기된다.
프랑스의 역사
-로마시대부터 프랑스 혁명까지
근대 프랑스의 경계는 대략 고대 골족 의 영역과 같다.
기원전 10세기 이래 켈트인이 거주한 서구지역을 로마인들이 갈리아라 불렀다.
기원전 7세기경까지는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이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
기원전 1세기 무렵의 갈리아는 인적 결합체로서의 전사단인 몇 십 개의 키비타스(civitas)라고 하는 정치상의 단위로 나뉘어 있었다.
부족 내부에는 기사 및 성직자 등의 지배층과 무장능력을 지닌 일반 자유민 외에 노예가 있었으며, 목축과 원시적인 쟁기를 사용하는 농경이 이루어졌다.
고대 로마제국의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끈 군대가 기원전 1세기 경에 골족을 정복하였다.
폼페이우스 장군, 대부호 크라수스와 야심 많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제1차 삼두 정치 시대가 열린 로마는 그 정복의 칼끝을 유럽의 평원 쪽으로 돌리게 되었다. 카이사르는 알프스 산맥 너머에 있는 골 지역을 "로마화"하려고 하였다.
기원전 52년 켈트 족 연합군의 최고지휘자 웨르킨게토릭스는 카이사르의 발 밑에 그만 무릎을 꿇게 되었다.
기원전 51년에 카이사르는 전(全)갈리아를 평정하고 로마의 속주(屬州)로 삼았다.
이로써 번영 일로의 "팍스 로마나" 시대의 영역은 라인 강 지역까지 미치게 되었다.
웨르킨게토릭스가 카이사르에게 참패한 후, 라틴 어가 켈트 족의 언어를 대체하였고, 골인은 선진 로마의 풍습을 모방하였다.
소위 "문명인"과 "야만인"이라는 이분법의 잣대를 지닌 거만한 정복자들에게 골족은 영락없는 "야만인"이었다.
골인들은 독특하고 공통된 문화 자산을 소지하였으나, 부족들은 경쟁과 분열된 상태에 있었다.
기독교(로마 가톨릭)는 기원후 2-3세기 무렵에 처음으로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4-5세기 무렵에는 견고하게 자리를 잡았다.
라틴계 교부인 성 제롬은 골 지역이 유일하게 "이교로부터 자유로운" 곳이라고 기록했다.
기원후 4세기에 이르면 골족 영역의 동쪽 경계인 라인강 너머에서 게르만 부족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들은 라인강을 따라 남하하였고, 주로 프랑크 족이었던 그들은 5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골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때 갈로로마 문화가 무너지고 암흑기에 접어든 것으로 얘기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가톨릭"의 영향으로 문화의 연속성은 유지되었다.
프랑크족은 로마제국이 무너진 이후 유럽 곳곳으로 밀려든 게르만 정복자 중에서 처음으로 니케아 공의회에서 그리스도론(기독론)에 대한 교의차이로 이단으로 단죄된 아리우스주의가 아니라, 로마 가톨릭 교회로 개종한 첫 번째 부족이었는데, 이는 그들의 왕인 클로비스 1세가 498년에 개종하였기 때문이다. 덕분에 프랑스는 "교회의 장녀"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La fille ainée de l’Église). 클로비스 1세는 여러 부족을 통일하고 메로빙거 왕조를 수립했다.
카롤링거 제국은 샤를마뉴 대제(카를:독일어 ,샤를:불어 ,카롤루스:라틴어) 시대에 들어가 크게 번영했다.
하지만 베르됭 조약 (843년)을 시작으로 동 프랑크(독일), 중 프랑크(이탈리아), 서 프랑크(프랑스)로 분리되기 시작했다.
서 프랑크의 영역은 대략 현대 프랑스의 것과 비슷하며 현대 프랑스의 선조라고 할 수 있다.
카롤링거 왕조는 파리의 백작이자 프랑스의 공작인 위그 카페가 왕위에 오른 987년까지 프랑스를 통치했다.
그의 후손인 카페 왕조, 발루아 왕조, 부르봉 왕조는 계속되는 전쟁과 왕조의 유산을 통해서 꾸준하게 나라를 통합하였다.
그 후, 노르만의 침입, 이슬람의 침입을 겪는 동안 십자군이나 고딕 건축으로 대표되는 중세 봉건사회가 성립되었다.
오늘날 프랑스 남부에 해당하는 옥시타니아 지방의 이단 종파인 카타리파를 제거하기 위한 알비 십자군은, 1209년에 시작되었다.
십자군 원정의 결과로 카타리파가 제거되고 남부 프랑스의 독립이 좌절되었다.
1337년에는 흑사병이 처음으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영국과 프랑스는 백년 전쟁에 돌입하였다.
백년전쟁 초기에는 영국군이 우세했지만 잔다르크의 등장 및 프랑스군의 반격으로 이 전쟁은 프랑스의 승리로 끝났다.
이후 프랑스의 종교 전쟁 (1562–98) 중에는 매우 유명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1572년 수 천명의 위그노들이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학살 사건에 휘말려 살해되었다. 지리상의 발견, 종교개혁과 그에 따르는 분쟁을 거쳐 중앙집권이 거의 확립되었고, 절대 왕정은 17세기 루이 14세의 통치 기간에 그 정점에 달했다. 이 시기에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많은 수의 인구를 보유했으며, 정치, 경제, 문화 분야에 있어 유럽 전체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 시기부터 프랑스어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제 외교 무대에서 주요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이 무렵에는 데카르트의 이론을 비롯한 다양한 철학 사상들이 성립되었다. 계몽주의도 이 시기에 발달하였다.
-왕정에서 공화정으로
프랑스는 프랑스 혁명이 일어날 때까지 왕정 체제였고, 왕정은 1789년 7월 14일에 성직자와 귀족 계급을 무너뜨리려는 목적하에 일어난 프랑스 혁명 기간 중 바스티유 감옥 습격 이후에 즉시 무너진 것이 아니었고, 1792년 9월 제1공화정이 들어설 때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나폴레옹이 등장하여, 국민의식과 인권사상을 각국에 보급했다.
그의 실각 후, 부르봉 왕정복고와 혁명이 되풀이되는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고, 루이 보나파르트의 제2제정, 7월 왕정, 파리 코뮌의 뒤를 이어 프랑스 제3공화국이 성립되었는데 이 체제 밑에서 세계 대전을 경험했다.
그리고 나치 독일 점령 하의 레지스탕스 등 혼란의 시대를 거쳐 프랑스 제4공화국의 성립을 보았다.
그러나 많은 식민지가 독립하여 정치적과 경제적으로 약해져, 1958년 드골이 지도하는 프랑스 제5공화국의 시대로 들어갔다.
프랑스의 자연
정치
알제리 문제 등의 정치적 혼란을 수습한 드골장군은 1958년 10월 8일에,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여 대통령에게 강대한 권한을 주는 헌법을 공포했다.
이 헌법에 바탕을 둔 제5공화국의 특색은 입법부에 대한 행정부의 우위에 있는데, 내각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총리와 각료로서 구성된다.
초기 헌법에서 대통령의 임기는 7년이었으나, 2000년 국민투표를 통해 5년으로 단축하였다.
의회는 양원제로서, 하원에 해당하는 국민의회는 2회 투표, 소선거구제의 직접 · 보통선거로 선출되는 577명의 의원(임기 5년)으로 구성되며, 상원은 국민의회 및 지방의회 대표에 의한 간접선거로 구성된다(정수 319명, 임기 9년, 3년마다 1/3개선).
정당은 중도파의 신(新)공화국 연합을 비롯하여 전통적인 작은 당의 분립인데, 소선거구제로 인해 정국은 일단 안정을 보이고 있다.
드골 대통령의 EC를 기초로 하는 유럽의 단결을 꾀함과 동시에 타국에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입장에서 ‘위대한 프랑스’의 실현을 지향했다.
자유 진영에서는 최초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대사관을 개설했고, NATO의 군사기구 탈퇴, 독자적인 핵전력의 개발 등이 그 좋은 예이다.
드골의 퇴진 후 1969년 9월 조르주 퐁피두 총리가 제2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1974년 급서했으며, 1974년에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이 제3대 대통령에, 1981년 5월 사회당의 프랑수아 미테랑이 제21대 대통령에, 1995년에는 신 드골주의자 자크 시라크가 제22대 대통령에 취임했으며 2007년 5월에는 니콜라 사르코지가 제23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사르코지는 2012년 5월 6일 재선에서 패했고, 현재는 사회당 출신의 프랑수아 올랑드가 대통령 자리를 맡고 있다.
경제
프랑스의 경제는 1947년 이래 여러 차례에 걸친 현대화 계획, 경제사회 개발계획을 착실히 쌓아올려 많은 발전을 보았다. 유럽 여러 나라 중에서 농업생산이 가장 많은 나라이며, 넓은 국토와 다양한 기후, 농업에 적합한 토지로 인하여, 유럽에서 드문 농업생산국이 될 수 있었다.
지역마다 특산품으로 포도주, 레몬, 올리브 등을 생산한다. 항공기·자동차·화학공업의 발전도 눈부시다. 또한 지중해안이나 피레네와 알프스 등의 자연 볼거리 그리고 파리 등 역사적 건조물이 풍부한 아름다운 도시를 갖고 있어 관광산업도 주요 산업의 하나이다.
가전 제품, 컴퓨터, 가구 등의 제작기술이 뛰어나며, 철광석을 캐는 등의 광업이 존재한다.
주요 수출품으로는 자동차, 기계, 의류, 화장품, 전자제품 등이 있다. 랑콤, 루이비통, 샤넬 등의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가 있다.
G7 및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회원국이며, 관광지로 루브르 박물관, 퐁피두 센터, 에펠 탑, 리옹 시 등이 유명하다.
-통화
예전에는 프랑이라는 통화 단위를 썼지만 지금은 유로화를 쓰고 있다.
마스트리흐트 조약의 발휘로 현재는 유로화를 사용하고 있다.
문화
프랑스의 음식 문화는 영국 다음으로 엄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서양 문화에서는 가장 엄격한 식사 예절이 있다.
이 나라에서는 식기 소리를 크게 하는 것은 금물이다. 국민성은 검소하며 인생을 즐긴다.
유럽에서 개인주의가 가장 발달한 나라에 속한다. 자신의 나라에 대한 애착심이 남다르다.
자녀 교육이 엄격하고, 타인에 대한 예의를 중시한다.
결혼 후에도 부모의 집과 가까운 곳에 사는 경우가 많다.
가족에 대한 의무가 약화되고, 이혼율이 높은 편이다.
노령화 현상, 높은 실업률, 공해, 주택 부족, 사회 계층 간의 신분 차로 인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벼룩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고, '전통'과 '낡은 것'을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지니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 - 프랑스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9E%91%EC%8A%A4
이미지 출처 : 위키백과 - 프랑스
아름다운 건축과 문화로 유명한 프랑스 꼭 한번 여행을 떠나 가보고 싶군요. 지인중 한명이 몇일 후면 이곳으로 떠납니다. 준비하는 과정을 보니 여행이 아닌 취업을 위해서는 비자받기도 매우 어렵더군요. 저는 그냥 여행으로 한번 떠나야 겠습니다.
'여행정보 > 여행알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정보] 공휴일정보 (0) | 2017.04.18 |
---|---|
[국내여행정보]대한민국 축제정보 (0) | 2017.04.14 |
[여행] 여행이란 무엇일까요? (0) | 2017.04.13 |
[여행정보]뭉쳐야 뜬다 허니문 이벤트 신청 방법 (0) | 2017.04.04 |
롯데월드타워 알아보기 (0) | 2017.04.04 |